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방송조사란 무슨인가! 이야~~
    카테고리 없음 2020. 1. 26. 20:24

    안녕하세요! 김성비임~ 종강해서 개인적으로 방송분야에서 공부를 하고 싶어서 지난 학기 수업말을 한명씩 정리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방송조사' 파트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방송조사의 개념, 종류를 먼저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시청률 중심의 양적 조사, 품질평가 중심의 질적 조사 마지막으로 현재의 스마트 시대에 걸맞은 시청률 보완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방송조사란 사회과학적 조사의 한 형태로 방송현상과 관련된 사회, 심정, 경제, 정치적 변인의 상태를 기술하고 본인 또는 이들 괴짜간의 상호관계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


    방송연구의 종류는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시청률 중앙의 양적 연구와 품질평가를 중간으로 한 질적 연구가 있습니다. 본래는 시청률 연구만이 존재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방송 프로그램을 평가하기에 부족해, 질적인 측면 연구가 더해진 것이라고 한다.


    방송 연구의 한 축인 양적 연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 연구는 간단하게 생각해서 시청률 연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어졌을 때 전체 모집단에서 TV를 시청하는 생활도구나 사람들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바로 시청률 개념입니다. 시청률을 연구하는 방법에는 설문, 전화, 1식, 하우스 홀드 미터 피플 미터 패시브 미터 등이 있다고 하네요~ 관련된 동영상이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링크원으로부터 제외다!


    >


    시청률 연구기관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 정부에는 AGB닐슨, TNmS미디어코리아가 있다고 한다. 저처럼 방송업계에서 일하고 싶으신 분들은 단순히 진로는 방송사, 통신사에 국한되지 않고 고란 리서치 기관도 주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문장첫머리에서도말씀드렸듯이질적인연구는양적연구의한계를보충하기위해서등장을했습니다. -이 관점에는 시청률 대체 관점과 시청률 보완 관점이 있는데요. 위의 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


    지명파 3사에서는 각각 독자적인 프로그램 품질 평가 도구를 가지고 있어요. KBS는 PSI, MBS는 QI, SBS는 ASI입니다. 그러면, 독자적인 프로그램 품질 평가의 한계는 각각의 방송국이 자사에 유리하게 평가 항목을 만들어, 각 연구 마다 1개 정도는 자사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살펴볼 파트는 스마트 시대에 시청률을 보완할 수 있는 지표인 CJ E&M의 CoB,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PEI, 방송통신위원회의 통합 시청률이다. 제일 먼저 CJ E&M의 CoB를 볼까요?


    >


    >


    >


    CJ E&M의 CoB는 콘텐츠 파워 및 가치를 소비자 행동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모델로 시청률로 해석하기 어려운 소비자 행동을 통해 시청률의 보완 지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본 지표는 헌법이 20최초 2년 4월부터 매달 연구하는 지표입니다. 시청자의 몰입 정도를 통해 TV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합니다. PEI가 높은 그룹은 아침에 그룹보다 마케팅 기억도가 높고 마케팅에서 나쁘지 않았던 제품/서비스의 이용 욕구가 높다고 하네요.


    >


    마지막 지표는 방통위의 통합 시청률로 현행 TV 시청률이 가족용 TV를 통해서만 방송 시 방송 시간을 조사합니다라는 한계를 넘어서는 기회를 제시했습니다. 통합 시청률은 TV 시청률에 더해 N스크린 시청률까지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방송과 시간 날 때마다 방송, TV/PC/모바하나별 가중치 부여 등 비교적 적용된 사건이 있다죠.


    언제나 그랬듯이, 날은 방송 조사에 대해 조사해 보았습니다. 통계 관련 이야기가 많이 등장해서 좀 딱딱한 부분인 것 같은데요. 방송업계에 종사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야 할 거라고 소견합니다! 아무튼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포스팅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 이야기는 철저하게 방송의 이해 수업 자료에 기초하고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하고 있다.



    >



    댓글

Designed by Tistory.